TIL 43

웹 과 HTTP의 이해 후 웹 서버의 이해까지!

1. 웹 브라우저란? 인터넷 브라우저라고도 불리며,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이트에 접속하였을때,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전달받아 이를 해석하고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웹 브라우저는 정적인(static)파일과 동적인(Dynamic)정보를 처리하게됩니다.브라우저의 통신 방식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을 입력웹 브라우저는 입력받은 URL을 DNS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 IP 주소를 찾아줍니다.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웹 브라우저는 해당 IP 주소로 HTTP 요청IP 주소에 연결된 웹 서버는 요청(Request)를 받아 처리웹 서버는 처리 결과를 HTTP Resp..

TIL 2024.08.27

서버와 클라이언트 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게임 서버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1. 컴퓨터 세계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무엇인가?서버 란?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와 자원을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말합니다.서버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웹 페이지 호스팅, 이메일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가집니다.서버는 여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서버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이며, 매우 큰 용량과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클라이언트 란?서버로부터 데이터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온라인 게임 등이 클라이언트의 예입니다.클라이언트는 사용자와 서버 사이의 인터페이스(통로) 역할을 합니다.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서버와 클라이언트..

TIL 2024.08.26

깊은 복사 vs 얕은 복사 JavaScript

오늘 자바 스크립트에서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일단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 모두 참조값이 원본과 다른 객체를 생성합니다.예를 들어서var user = {    name: "john",    age: 20,}가 있다고 하고 이 객체의 값을 바꿔주는 것은 쉽습니다.하지만 이 객체의 값을 유지한 상태로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또 다른 객체를 생성해서 그 객체 값만 바꾼다고 했을 때의 방법은 새로운 객체를 하나 더 만들어서 똑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할당해주는 것 보다 데이터에 할당된 값 즉, 변수를 참조해서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 오는 것이 더욱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의미 입니다.위의 객체는 얕은 복사든 깊은 복사든 결국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 주고 user 객체안에 또다른 객체 값이 존재 하지..

TIL 2024.08.13